https://www.autoelectronics.co.kr/article/articleView.asp?idx=4232
무선 업데이트(OTA)와 ISO 24089
자동차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장치의 수명주기 동안에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신뢰점(RoT)과 추적성의 탑재는 보안 위험을 경감시키기 위한 심층방어 전략에 필수적이다.
www.autoelectronics.co.kr
http://eewebinar.co.kr/adi/tech_view.asp?g=3&idx=426
임베디드 MCU 애플리케이션의 OTA 업데이트 설계 시 고려사항 - 한국 아나로그디바이스 | Analog Devic
GO"> --> 기술기고문 임베디드 MCU 애플리케이션의 OTA 업데이트 설계 시 고려사항 임베디드 MCU 애플리케이션의 OTA 업데이트 설계 시 고려사항 글: 벤자민 버클린 브라운(Benjamin Bucklin Brown) / 아나
eewebinar.co.kr
자동차가 전통적인 기계 공학의 영역에서 SW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1. 자동차에 내장된 수백개의 ECU는 기존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른 ECU로 전송하게 된다. 이로 인해 기존의 차량 내 통신 방식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한계가 있어 CAN 통신에서 점차 Ethernet 통신 방식으로 확장되고 있다.
2. 차량 내 반도체를 무선으로 업데이트하는 OTA(Over The Air)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자동차의 생명 주기 동안 차량 내의 부품의 오류나 결함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특히 자동차 업계에서 SW의 오류로 인한 리콜이 전체 리콜에서 46%를 차지하는 만큼 SW 오류에 대한 무선 업데이트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높아졌다. 앞으로 미래의 자동차는 OTA 기능을 내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3. OTA의 주요 요인
- 메모리
OTA를 통해 업데이트 되는 SW는 ECU의 메모리에 적재된다. 새로운 SW를 메모리에 적재하는 과정이 먼저 진행되고, 새로운 SW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만약, 비정상적으로 동작된다면, 업데이트 이전의 기존 SW를 사용해야 하므로 기존의 SW는 적절하게 보존되어야 한다.
- 통신
OTA는 서버에서 ECU로 무선으로 SW를 전송한다. 따라서 패킷, 프로토콜이 고려되어야 한다.
- 보안
무선으로 SW를 전송하기 때문에 인증과 보안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SW 업데이트 과정에서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관심 산업 >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충전 신기술 (0) | 2022.06.01 |
---|---|
OTA 관련 기사 (0) | 2021.10.25 |
미래자동차의 4가지 키워드 : CASE (0) | 2021.10.25 |